input 태그를 type='number'로 사용했을 때input 에 focus하면 우측에 숫자를 +1, -1 할 수 있는 화살표가 생성된다.제거하고 싶다면 아래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./* Chrome, Safari, Edge, Opera */input::-webkit-outer-spin-button,input::-webkit-inner-spin-button { -webkit-appearance: none; margin: 0;}/* Firefox */input[type='number'] { -moz-appearance: textfield;}
_app.tsx, _document.tsx: 두 파일은 server only file 입니다. Next.js server logic에 사용되는 파일이기 때문에 client에서 사용하는 로직 사용 불가 ex) EventListener / Window / DOM 1. _app.tsx 서버로 요청이 들어왔을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컴포넌트를 의미합니다. pages/_app.tsx 경로에 생성 모든 페이지는 이곳을 통하게 되고 공통 레이아웃을 만들때 사용 글로벌 CSS 적용 레이아웃 설정을 통해 페이지 전환시 특정 레이아웃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페이지 전환시 특정 레이아웃의 상태값도 유지 실습해보기 root 경로에 styles/globals.css 를 생성합니다. _app.tsx에 적용 pages/_app.t..
tailwind.config.js 에서 특정 키워드를 지정해서 클래스 안에 작성이 가능하다. 아래는 해당 파일이다. /** @type {import('tailwindcss').Config} */ module.exports = { darkMode: "class", mode: "jit", purge: ["./src/**/*.{js,jsx,ts,tsx}", "./public/index.html"], // darkMode: true, // or 'media' or 'class' theme: { extend: { colors: { brand: "#FF0000", }, }, }, variants: { extend: {}, }, plugins: [], };
iframe 태그를 사용하는 데에 있었던 frameBorder라는 속성이 deprecated 되었다고 나온다. 출처 : http://www-db.deis.unibo.it/courses/TW/DOCS/w3schools/tags/att_iframe_frameborder.asp.html#gsc.tab=0 출처 :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HTML/Element/iframe 하지만 mdn에서 확인 시 frameborder는 deprecated된 속성이며, css 속성의 border로 대신 사용해주면 된다. 대안 : style 속성을 이용하여 border로 조정
왜 제거해야 하나요? create-react-app으로 React 프로젝트를 빌드하여 배포하는 경우, 기본적으로 webpack에 의해 번들링 된 파일과 해당 파일에 대응되는 sourcemap이 생성됩니다. 다음은 결과 예시이며, *.css.map과 *.js.map 파일이 sourcemap입니다. 📁build ├── index.html ├── . . . └── 📁static ├── 📁css │ ├── main.58ba45b2.chunk.css │ └── main.58ba45b2.chunk.css.map 👈 └── 📁js ├── 2.70d883b6.chunk.js ├── 2.70d883b6.chunk.js.LICENSE.txt ├── 2.70d883b6.chunk.js.map 👈 ├── main.c855ce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